이전 전시

『SO,BE』展



전시주제

본 전시는 소비문화가 은근하게 내포하고 있던 치밀한 자본주의 시장의 흐름에 물음표를 던지고자 한다. 권력자들이 의도한 선상에 놓인 소비 주체의 실체는 여전히 규정되지 않지만, 물음표에 대한 우리들의 대답이 비가시적 해답이라 하여 침묵할 수는 없다. 문화의 형성에는 사회 지배계층의 개입이 불가피하며, 이는 자본을 바탕으로 움직일 때 그 성격이 더욱 강해진다. 소비문화는 자본주의 시장과 맞물려 형성되어 있기에 문화적 파급력이 강해질수록 그들의 암묵적 개입을 자각하는 대중들의 자발적인 면피 역시 확대된다. 전시는 각 섹션을 통해, 이러한 소비의 양면적 성질이 지배하는 그 중간 어디쯤 모호한 경계에 서 있는 우리의 모습을 자각하게 한다. 소비란 절대적인 취향으로 개인의 정체성을 발현하는 하나의 도구인가, 사회적 권력이 조장하는 의도적인 현상적 결과물인가. 그 고민을 관철하는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당신에게 소비란 무엇입니까? 라는 물음에 우리의 대답은 어떠한가. 우리는 이 물음표에 대한 제3의 해답을 찾기 위해 아직 이곳에 서 있다.


기획의도

본 전시는 발전하는 소비의 행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아 현시대에 소비문화를 형성하는 주축에 대하여 물음표를 던지며, 소비 주체의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첫 번째는 유착된 정체성이다. 필요에 의한 생필품을 구매하는 생산적 소비의 시대를 뒤로하고 오늘날 소비는 개인적 만족을 넘어 사회적인 관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개인이 무엇을 소비하는지에 따라 타인 및 사회와의 관계가 재정립되는 소비의 ‘사회적 관계성’은 개인의 취향보다 더 깊숙하게 소비자의 무의식을 지배한다. ‘현시선호이론(theory of revealed preference)’에서의 소비자는 합리적인 소비를 위해 지불하는 값에 대한 선호순서를 끝없이 고찰하는 존재이며, 이는 개인의 무의식이 소비의 큰 틀을 지배하는 소비의 본질에 부합한다. 흥미로운 점은, 지금의 소비자들은 소비에 내재하여 있는 사회적 관계성을 은근하게 제1의 선호순서로 놓고 있다는 것이다. 관계성에 대한 이와 같은 대중들의 타성적인 태도는 사회적 관계에서 비롯된 개인의 정체성을 발현하려는 욕구로 유착되어 소비문화의 커다란 맥으로 자리 잡았다.

 

두 번째는 의도된 권력이다. 전시는 소비행위의 흐름 자체를 사회적 권력이 움직이는 의도된 현상으로 여길 것인지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가변하는 소비의 맥락과는 달리 공급자의 최종 목적지는 여전히 ‘이윤 창출’이며, ‘생산자 선택의 이론(theory of producer's choice)’에 따라 공급자는 철저하게 이윤을 중심으로 생산을 계획한다. 현시점에서의 이윤이란 단순한 재화뿐 아니라 사회·문화·정치 등 국가 차원의 사회 현상을 지배계층이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어내는 것을 내포한다. 즉, 사회 지배계층은 공급자에 형상하여 소비의 행보에 의도적으로 개입하여 권력을 행사한다. 그들은 대량생산이나 과잉생산뿐만 아니라 특정상품 및 문화를 트렌드로 탈바꿈하는 등 가시적으로 구체화하기 어려운 소비자의 무의식에 접근해 다분히 목적성을 띤 채 통제함을 시도한다. 상당히 강제적인 주입이지만 실체는 정의하기 모호한 현상으로만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