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월차』展
전시주제
우리는 사회 다각도의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를 경험했다. 전시에서 보여주는 새로운 생태계의 모습이 아주 먼 미래의 일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지금 내가 서 있는 이 곳, 우리의 생태계를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이 필요해지는 시점이 당장 오늘로 다가올지 모르는 일이다.
이에 본 전시는 오염으로 변화된 생태계에서 맞이한 새로운 형태의 환경과 공존하는 인류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기획의도
오염으로 변화된 생태계에서 맞이한 새로운 형태의 환경과 공존하는 인류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Q:미래 생태계를 위한 우리의 역할은 무엇일까 ?
오늘날 미래 트랜드에 관한 수백권의 책들, 변화하는 사회와 관련된 수많은 용어들이 쏟아져나온다. 그 중심에 있는 '기술의 발전'. '발전'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무색할만큼 기술은 인간이 미래를 구현하는 속도를 넘어서고 있다.
여기에 펜데믹 사회가 형성되며, 기술의 발전에 의한 사회적 변화에 대해 사회구성원이 정서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도 가속도가 붙고 있다.
지구의 생태계 또한 전에 없었던 속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은 오염되고 있다' 라는 문장을 이어갈 '다음 이야기'는 무엇일까. 인간은 오염으로 변화된 생태계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가.
전시에서는 지구환경을 하나의 커다란 정원으로 보았을 때, 환경생태계를 보존하고 지키려는 인간의 노력을 전지구적 가드닝 활동으로 보고자 한다. 전시는 전시장 한 가운데 서 있는 ‘나’라는 존재를 미래에 펼쳐지게 될 새로운 생태계에 첫 발을 내딛는 인간이라는 가정 하에 시작한다. 미래 생태계를 위한 인류의 역할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고자 한다.
김용철 작가작가는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인 ‘장난감’을 사용하여 현대 사회의 축소판을 나타낸 다. 장난감을 통해 충족되는 ‘놀이’에 대한 아이들의 욕망을 어른들의 ‘쉼’에 비유하며, 작은 물체 속 담긴 인간의 욕구에 주목한다. 각양각색의 모양을 한 장난감들의 집합체로 완성된 작품은 각기 다른 개별구성요소를 띄며 현대 사회에 수없이 펼쳐진 휴식의 구체적 유형을 표현한다. 이러한 작품의 변주(變奏)는 가장 좋아하는 ‘나만의’ 장난감이 있듯 우리에게도 오 직 나에게만 맞는 ‘나만의 장난감’이 있음을 시사한다. 당신의 휴식에 있어, 나에게 맞는 형 태는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김이란 작가작가가 펼치는 이야기는 휴식의 본질을 관통하여 ‘위로와 소통’에 주목한다. 일상적 경험에 서 출발한 작품은 지극히 평범하며 우리의 현실과 매우 가까워 특유의 ‘친근함’을 전달한다. 특히 작가는 휴식의 주요 소재인 ‘잠’을 자는 객체를 위트 넘치게 표현하였는데, 역설적으로 그 모습이 어딘가 슬퍼 보이는 것은 관람객 스스로 주어진 ‘쉼’의 방법에 대한 상실을 자각 하였기 때문이 아닐까. 우리에게는 어쩌면 ‘제대로 쉬는 법’을 모르고 지친 일상과 반복되는 권태로움에서 찾아온 휴식에 대한 갈망만이 남았을지도 모른다. 서정적인 감수성으로 ‘쉼’에 관한 사유를 솔직하게 그려낸 작품을 통해 치유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
릴리 작가작가는 온전한 휴식을 마주한 순간에 집중하여 관람자를 예술적 사유로 이끈다. 작품 속 휴 식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코알라, 초록 유칼리 숲, 핑크색의 유칼리 꽃’ 등은 모두 작가의 ‘개인적 경험’에 의한 순간의 감성을 담아낸 것이다. 이렇듯 객관적 대상의 지각 작용으로 관람자의 무의식에 한 번쯤 존재할 찰나의 장면을 포착하며, 이를 감성에 물들인 채 안온하 고 조화로운 방식으로 표현한다. 이는 ‘온전한 휴식’이란 개인적인 경험과 사유로 어우러진 ‘삶’과 ‘쉼’을 공유하는 과정임을 깨닫게 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각자의 방법으로 펼쳐내는 휴식을 통한 치유와 회복의 파장이 멀리 퍼지기를 소망한다.
서유라 작가인간의 정신적 ‘쉼’에 대한 욕구는 어디까지일까. 작가는 ‘책(book)’이라는 하나의 소재를 집 요하게 파고들어 정신적 ‘쉼’으로의 갈망을 표현한다. 책은 지식의 취득, 정신적 성숙, 유의 미한 시간에 대한 안정감 등 휴식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훌륭한 수단 으로 표현된다. 특히 작품 속 책들은 크기, 종류 등이 각기 다른(different shape) 파편화된 이미지로 예상하기 어려운 형태의 층을 이뤄 쌓여 있다(sedimentary layer). 이는 ‘책’이라는 동일한 매개로 정신적 ‘쉼’을 영유하더라도 인간은 각기 다른 형태의 정서적 재충전을 갈망 함을 상징한다. 작품을 통해 ‘쉼’의 본질을 파악하며 진정한 ‘휴식’을 찾아가 보자.
이상원 작가작가는 작품 속 ‘군중’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휴식의 본질에 접근하고 있다. ‘소중한 사람 들과 보내는 행복한 순간 속 우리’를 관찰하여 그 모습을 자세하고 밀도 있게 표현해낸다. 흥미로운 것은 작품은 화면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 전체가 하나의 패턴으로 반복되며 ‘순 간 속 우리의 모습’을 ‘군중의 일상’의 나타내고 있다. 휴식을 즐기는 모습을 담은 개체가 개 별적 시점에서 군중으로 바뀌는 순간 개인의 자유로 여겨졌던 ‘쉼’의 방법들은 획일화되어 프레임에 담긴다. 작가가 던지는 휴식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통해 당연하게 주어졌던 ‘휴식’ 이 사유하는 의미를 한 발자국 떨어져 관찰해보자.